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은 우리나라 특산종이며 멸종위기 종인 자생 왕벚나무의 종자발아기간을 2개월로 단축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그동안 과학원은 3년간의 예비연구를 통해 왕벚나무 종자의 발아가 어려운 원인으로 종자의 껍질이 단단하고, 수분과 산소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이 종자껍질이란 것을 알아냈다.
이점을 보완해 회전배양을 통해 인위적으로 식물 호르몬을 공급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지금까지 최소 1년이 걸리던 왕벚나무 종자의 발아기간을 2개월로 단축시켰다.
앞으로 종자발아를 통한 증식기술이 개발됨으로서 지금보다 환경적응력이 높은 나무들을 대량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왕벚나무의 활용분야가 관상용이나 조경수로만 한정되던 것을 숲을 조성하거나 목재자원 생산용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유전자원과 김두현 박사는 “이 기술은 기존 방법에 비해 종자의 이용 효율성을 증진시켰다” 며 “묘목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묘목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벚꽃 개화시기 관측 표준목인 왕벚나무는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국제단위 멸종위기종이다.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한라산이 자생지로 알려졌으나, 개체수가 매우 적어 증식 및 보전이 시급한 수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