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정부를 대신해 제65주기 4·3위령제에 참석한 정홍원 국무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바 있는 ‘4.3 사건 추념일 지정’과 ‘4.3 평화재단 국고지원 확대’를 차질없이 추진할 것임을 이 자리에서 약속드린다” 며 “앞으로도 4.3 사건 희생자들을 기리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4.3사건의 비극이 끝난 지 60년 넘는 세월이 흘렀다” 며 “무려 7년여간 지속되었던 이 민족사의 비극은 희생자와 유가족은 물론 우리 국민 모두에게 지금까지 지울 수 없는 상처와 한을 남겼다”고 애도의 뜻을 표했다.
이어 정 총리는 “제주도민은 대립과 갈등을 관용과 화합으로 승화시키며 미래를 향한 더 큰 발전의 디딤돌을 놓아왔다” 며 “이러한 제주의 정신이야말로 새 정부가 추구하는 국민 대통합의 귀중한 밑거름이 될 것임을 굳게 믿고 있다”고 격려했다.
이어 “4.3사건으로 희생당한 도민이 지금까지 확인된 숫자만 무려 1만4000여명에 달하지만 반세기가 넘도록 가슴에만 묻어두어야 했던 안타까운 시절이 있었다” 며 “지난 2000년 특별법이 제정되고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의 길이 열린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고 평가했다.
또, “이러한 제주의 정신이야말로 새 정부가 추구하는 국민 대통합의 귀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며 “제주도민의 통합 정신이 바탕이 돼 우리나라가 당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를 활짝 열어갈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우근민 제주지사도 주제사를 통해 “올해 위령제의 주제가 ‘4.3의 완전한 해결은 국가추념일 지정부터’이다” 며 “4.3국가추념일 지정을 제 1의 과제로 꼽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 지사는 “제주 4.3사건을 화해와 상생의 정신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국가 차원의 위령제가 개최돼야 한다” 며 “국가추념일 지정을 2003년부터 지속적으로 중앙정부에 건의해온 것도 이 때문이였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대선 시기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한 여야 후보 모두가 제주도민에게 약속한 공약이기도 하다” 며 “국가추념일 제정을 통해 제주 4.3이 제주를 넘어서서 세계적인 차원에서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위령제 봉행에 앞서 식전 문화행사로 종교 추모의례와 도립무용단, 재일동포 합창단의 공연이 펼쳐졌다.
또, 식후행사로는 국악 추모공연과 4.3 비나리, 가훈 써주기 행사가 이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