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판매된 차량 190만대를 에어백과 브레이크등 스위치 결함으로 리콜하게 된 것.
이로 인해 현대·기아차가 추구하고 있는 ‘품질 경영’에 타격을 입게됐다.
앞서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 현지 공장으로 직접 날아가 품질 강화를 거듭 주문했지만 공염불이 된 셈이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190만대를 에어백과 브레이크 등 스위치 결함 등으로 리콜한다.
이는 현대·기아차가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판매한 123만대의 약 1.5배다.
리콜되는 차량은 현대차는 △2007~2009년 생산된 엑센트 △2007~2010년 생산된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 △2011년 생산된 쏘나타 △2007~2009년 생산된 투싼 △2007~2011년 생산된 싼타페 △2008~2009년 생산된 베라크루즈 △2010~2011년 생산된 제네시스 쿠페 등 총 105만9824대다.
또한 현대차는 이와 별도로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생산된 엘란트라를 에어백 결함으로 리콜한다. 엘란트라의 사이드 에어백이 터질때 충분히 부풀지 않아 탑승자가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기아차는 △2011년 생산된 옵티마(국내명 K5) △2007~2010년 생산된 론도(국내명 카렌스) △2007년 생산된 세도나(국내명 카니발) △2007~2011년 생산된 쏘렌토 △2010~2011년 생산된 쏘울 △2007~2010년 생산된 스포티지 등 총 62만3658대가 리콜 대상에 포함된다.
앞서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연비 과장’으로 홍역을 앓은 현대차는 이번 리콜 사태로 다시 한 번 악재를 맞은 셈이다.
이로 인해 지난 10여년간 쌓아온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품질 신뢰도에 악영향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제2의 도요타 사태를 우려하고 있다.
앞서 도요타는 미국 시장에서 고성장을 이어가다 지난 2009년 대규모 리콜 사태 등을 겪었다.
이로 인해 도요타 아키오 회장이 미국 의회 청문회에 불려나가는 수모도 겪었다.
또한 당시 미국 내 언론은 대대적으로 도요타 자동차의 결함에 대해 보도하기도 했다.
그 즈음 도요타와 렉서스가 전 세계 리콜한 차량은 1000만 대에 달했다.
또한 날로 높아지고 있는 현대·기아차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본격적인 견제가 현실화 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국내에서도 16만대를 리콜할 계획이다. 리콜 대상은 현대차가 2009년 7월~2010년 3월에 생산된 구형 아반떼, 2010년 6월~2011년 6월에 생산된 구형 싼타페, 2008년 9~11월에 생산된 베라크루즈 등 총 11만여대다. 기아차는 2010년 6∼7월에 생산된 구형 카렌스, 2010년 10월∼2011년 4월 생산된 쏘렌토, 2010년 6월∼2011년 6월 생산된 쏘울 총 5만여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