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국연구재단은 하버드의대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정승민 박사와 미국국립보건원 츄시아 덩 교수, 하버드 의대 헤기스 교수 공동 연구팀은 세포 내 SIRT4라는 단백질이 암세포가 증식하는데 필수적인 글루타민 대사를 차단해 종양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동안 암은 유전정보를 담은 DNA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는데, 그동안 DNA 손상에 따른 세포 내 대사변화 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DNA가 손상되면 세포 내 글루타민(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하나) 대사가 억제되는 것을 관찰했다.
이 과정에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SIRT4 단백질이 글루타민 대사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손상 DNA를 가진 세포의 증식을 막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사람의 암세포에서도 정상세포보다 SIRT4가 적게 발현됐으며, 특히 폐암환자의 생존 기간에 SIRT4의 발현량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정 박사는 "앞으로 SIRT4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한다면 폐암 억제 및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