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계획국 산하에 토지자원과 개발사업 등을 통합 관리할 '공공개발센터'를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조직은 센터장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사업성분석, 교통 분석 등 분야별 전문 인력 6개팀 총 21명으로 운영된다. 센터장은 지난 2월 영입한 도시계획·건축계획 민간 전문가인 이성창 씨가 맡는다.
센터는 ▲마포 석유비축기지 등 주요 시유지 ▲성북역·수색역 등 철도부지 ▲삼성동 한국전력공사 부지 등 주요 공공기관 이적지 ▲용산관광터미널 등 현안 부지에 종합계획을 세우고 개발 가이드라인과 구체적 실행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개발 프로젝트 추진 시에는 전문가를 참여시키고 토론회와 포럼을 열어 공갬대를 만들 예정이다.
시는 향후 공공개발센터를 보스턴의 재개발청(BRA), 싱가폴의 도시개발청(URA)과 같은 선진 전문조직으로 확대발전시킬 예정이다.
시는 서울연구원에도 '공공개발연구센터'를 설치, 공공개발센터와 프로젝트 사전기획·연구를 하도록 했다.
한편 시는 민간 가용지 개발에도 단순 인허가에 불과한 시의 역할을 더욱 늘리기로 했다. 현재 1만㎡ 이상 민간 가용지를 대상으로 운영됐던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제도의 기준을 1㎡ 미만으로 바꿔 민간사업자와의 논의 범위를 확대한다.
이성창 서울시 공공개발센터장은 "공공개발센터는 소중한 토지자원을 대상으로 공공성과 실현성이 담보된 좋은 개발(Good Development)을 이루기 위한 공공 디벨로퍼(Public Developer) 역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