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서울·수도권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장바구니 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와 비교한 장바구니 물가수준에 대해 응답자의 95.0%가 ‘올랐다’고 답했고, 향후 소비계획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6.8%가 ‘줄이겠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장바구니 물가 중 가장 많이 오른 품목으로는 ‘음·식료품’이 86.6%의 응답을 받아 가장 많았고, ‘의복’ 3.6%, ‘컴퓨터 및 통신기기’ 2.6%, ‘신발 및 가방’ 1.8%, ‘기타’ 5.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최근 물가상승률은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매일 소비하는 신선식품의 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해 실제보다 물가가 더 올랐다고 체감하는 소비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상의는 분석했다.
또 소비를 줄이겠다고 응답한 이들 중 남성은 ‘오락·취미·스포츠용품’(53.0%), ‘의복’(45.6%), ‘음식료품’(44.2%)을 줄이겠다고 했으며, 여성은 ‘의복’(55.8%), ‘음식료’(37.3%), ‘오락·취미·스포츠용품’(33.6%), ‘화장품’(23.0%) 등의 분야에서 소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 방안으로는‘유통구조 효율화’(35.6%)를 비롯해 ‘부당한 가격인상 감시 강화’(19.0%), ‘공공요금 동결’(17.4%), ‘기업간 경쟁촉진을 통한 가격인하’(10.8%)등이 꼽혔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신선식품의 물가 상승세가 다른 소비재의 소비위축을 초래하고 있다”며 “농산물 등의 신선식품 생산 및 유통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