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 중심의 경제회의를 일원화해 내수와 글로벌 경제정책의 선순환 고리를 연결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인 셈이다. 또 앞으로 추진하는 모든 경제정책을 분산하지 않고 하나의 창구에서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박근혜 정부가 지향하는 부처 간 소통을 위해서는 부총리 주재 회의가 단순하고 일원화돼야 한다는 게 새 정부의 시각이다.
실제로 지난 이명박 정부 당시에는 경제회의 성격의 정책회의만 모두 7개에 달했다. 이 가운데 경제정책조정회의와 경제활력대책회의는 경제관계장관회의로 합쳤고 대외경제장관회의는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에서 부총리 주재로 격상됐다.
경제관계장관회의는 두 차례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됐고 오는 10일 정식으로 첫 회의를 연다. 부동산 정책을 시작으로 각종 민생현안과 일자리 정책이 이 회의 안건으로 상정돼 정책으로 수립된다.
추가경정예산이나 박근혜 정부 100일 실천 과제 역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수위가 결정된다. 사실상 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은 이 회의에서 이뤄지는 셈이다.
경제관계장관회의가 우리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면 대외경제장관회의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집중한다.
지난 5일 열린 첫 대외경제장관회의는 현 부총리가 향후 회의를 어떻게 운용할지 윤곽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 경기를 예의주시하고 각종 위험요소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데 대한 우리 기업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북한에 대한 동향 파악과 대비책도 대외경제장관회의를 통해 결정할 방침이다.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대내 이슈는 경제관계장관회의, 대외 이슈는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중심으로 경제정책을 운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특히 대외경제장관회의는 현장 중심 정책을 펼치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와 민간기관이 소통·협업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삼성·현대·LG·한국 등 민간연구소 원장도 필요시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내부에서도 현 부총리가 대외경제장관회의에 관심을 보이면서 대외경제국의 역할이 강화되는 등 거시경제 전반에 대한 정책을 추진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FTA 협상 등 안건의 시의성을 감안해 매월 둘째·넷째 격주로 회의를 추진한다. 또 각 부처 세종시 이전 현황을 고려해 세종청사 영상회의와 중앙청사에서 교대로 개최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실무회의도 강화된다. 주요 대외 이슈를 담당하는 미래창조과학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장관을 상임위원으로 추가해 내실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관계자는 "현 부총리가 대외 경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부처 내에서도 바쁜 부서 중 하나가 됐다"며 "대외 위험요인과 글로벌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발굴과 체질 개선을 뒷받침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