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 담당 비서의 개성공단 전격 방문, 공단내 '북한 근로자 전원 철수'라는 카드를 꺼냄으로서 '공단 정상화'란 희망의 불씨 마져 꺼지게 했다.
북한은 일단 개성공단의 남한 입주기업에서 근무하던 북측 근로자를 모두 철수하고 앞으로 남북관계 추이를 지켜보면서 개성공단 재가동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우리측 개성공단 기업회는 "북한의 진의를 파악한 다음 대응책을 강구하겠다"며 차분한 반응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북한 근로자를 철수하겠다는 것은 지금까지 개성공단과 관련해 나온 북한의 조치중 가장 강도가 높은 것"이라며 "우선 북한의 진의와 우리 정부의 대응 등을 파악해야 대응책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개성공단 북한 측 종업원 철수 방침을 밝힌 데 대해 “사태가 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국회 외교통일위 전체회의에 출석 중 관련 보고를 받은 류 장관은 “상황이 이제 막 벌어졌으므로 검토해서 정책으로 내놓아야 할 사안”이라며 “아직 판단을 말하기는 곤란하다”고 답했다.
그는 “현재 소감이 참담하지 않느냐”는 민주통합당 정청래 의원의 질문에는 “그렇게 감정적인 용어로 표현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특히 외통위는 개성공단 문제가 악화될 기미를 보이자 오후 5시부터 류 장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보충질의를 중단, 서둘러 산회했다.
정부는 일단 잠정 중단이 폐쇄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기업들의 생산활동 차질과 남측 근로자의 신변안전 등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기 때문에 만약의 사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북한 근로자의 전원 철수로 개성공단내 외화벌이는 잠정 중단 된 것으로 보인다.
공단 내 123개 남측 기업에서 일해온 5만여명의 북한 근로자들이 벌어들이는 달러는 연간 8000만 달러(한화 890억원) 수준이다.
때문에 정부는 북한이 공단 폐쇄라는 극단적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이미 지난 4일 "개성공업지구는 파산 전야에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공단 폐쇄 위협 수위를 높여왔다.
당시 북한은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은 "못된 입질을 계속해 시끄럽게 놀아댄다면 우리 근로자들을 전부 철수시키는 단호한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의 아량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위협했다.
바로 5만3000여명에 이르는 북측 근로자들의 철수까지 언급한 것이었다.
김 비서는 담화 발표에 앞서 이날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개성공단 내 북측행정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개성공업지구사무소, 종합지원센터, 입주 업체 몇 곳, 통행검사소, 남북연결도로 중앙분리선 등을 둘러봤다.
특히 이날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의 보도가 개성공단을 고사시키는 절차로 들어가는 상황을 가늠케 했다는 분석도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 비서의 개성공단 방문 소식을 전하면서 "남조선 호전광들의 북침 전쟁 도발책동이 극도에 이르고 있는 조건에서 경각성을 고도로 높이며 긴장되고 동원된 태세를 철저히 견지할 것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