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국산 육가공품이 수입산 제품에 비해 나트륨 함량은 적으면서 신선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소비량은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는 농촌진흥청이 9일 국내 유통되는 국내산과 수입산 가공육제품 10종을 수집해 나트륨 함량과 제품의 신선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100g당 육제품에 들어있는 나트륨 함량은 베이컨이 국내산 350mg, 수입산 560mg, 햄은 국내산 650mg, 수입산 940mg, 소시지는 국내산 510mg, 수입산 600∼610mg로 수입산에 비해 국내산 제품의 나트륨 함량이 최대 38%까지 낮았다.
또 지방의 산패도 측정에 의한 신선도 비교 결과, 햄과 베이컨은 국내산이 수입 육제품보다 더 신선하고 소시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패도란 유지나 지방 1g 속에 들어있는 유리된 지방산을 중화하는 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수를 말한다.
그러나 이 같은 품질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 1인당 가공육제품 연간 소비량은 3.8kg으로 미국 국민 1인당 가공육제품 소비량(42kg)에 절대 부족했다. 일본(10.6kg)과 중국(8.8kg)에 비해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우리나라 사람들은 연간 1인당 19kg의 돼지고기를 소비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이 가운데 삼겹살 등 선호부위 소비가 약 70 % 정도에 달했다.
돼지 한 마리에서 나오는 삼겹살 생산량은 18% 정도에 불과한 반면 사람들이 많이 먹지 않는 다리살과 등심, 안심 등 저지방 부위의 생산량은 65%로 이들의 소비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공육제품의 소비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성필남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사는 "가공육제품의 경우 가정에서 손쉽게 단백질 등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다"며 "국내 양돈산업 발전과 성장기 아이들의 단백질 공급을 위해서도 가공육제품 소비 확대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 소비 촉진을 위해 한국형 발효생햄과 통햄, 단기숙성 등심햄 등 다양한 육가공제품 제조기술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