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 올랐다. 전셋값도 0.18% 상승했다.
매매가는 4·1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매물 회수 움직임이 나타나는 가운데 혁신도시 인근 중소형 아파트값 오름세가 뚜렷했다.
지역별로는 경북(0.32%)·대구(0.27%)·세종(0.25%)·서울(0.16%)·광주(0.15%)·충남(0.13%) 순으로 올랏다. 반면 전남(-0.04%)은 하락했다.
특히 서울·수도권의 경우 지난 주 47주만에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돌아선 데 이어 2주 연속 올랐다.
규모별로는 60㎡ 이하(0.16%), 60㎡ 초과~85㎡ 이하(0.10%), 135㎡ 초과(0.02%) 아파트들은 상승한 반면, 102㎡ 초과~135㎡ 이하 아파트는 0.03% 내렸다. 85㎡ 초과~102㎡ 이하는 보합세(0.00%)를 보였다.
건축 연령별로는 10년 초과~15년 이하(0.14%), 15년 초과~20년 이하(0.11%), 5년 초과~10년 이하(0.10%), 20년 초과(0.08%) 아파트는 상승했고 5년 이하(0.00%)는 보합세를 기록했다.
전셋값은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탔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 시·도 지역에서 아파트 전셋값이 올랐다.
대구(0.54%)·세종(0.31%)·경기(0.27%)·대전(0.24%)·경북(0.22%)·충남(0.21%) 등이 강세를 보였다.
충남 계룡시는 군 관사 신축으로 인한 이주 수요 증가로 오름 폭이 확대되며 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규모별로는 60㎡ 초과~85㎡ 이하(0.20%), 135㎡ 초과(0.18%), 60㎡ 이하(0.17%), 102㎡ 초과~135㎡ 이하(0.17%), 85㎡ 초과~102㎡ 이하(0.10%) 순으로 나타나 전 규모에서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5년 이하(0.23%), 5년 초과~10년 이하(0.22%), 15년 초과~20년 이하(0.22%), 10년 초과~15년 이하(0.18%), 20년 초과(0.10%) 순으로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