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종 조류독감 '인간 대 인간' 감염 제기

  • 베이징·허난까지 신종 조류독감 감염자 확인

13일 중국 베이징시 디탄병원 중환자실에서 백색 방호복을 입은 의료요원이 베이징시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신종 AI 확진환자인 7세 여아의 병세를 보고하고 있다. [베이징=신화사]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중국의 신종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 사태가 중대 기로에 접어들었다. 그 동안 상하이(上海) 등 남부 창장(長江)삼각주에서만 발생하던 신종 AI 환자가 북부 베이징(北京)시와 허난(河南)성에서도 처음 발견되고 사람 간 전염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것.

13일 중국 국영 중앙(CC)TV에 따르면 중국질병통제센터는 베이징시 디탄(地壇)병원에서 치료 중인 7세 여자 어린이 환자가 H7N9형 AI 환자로 판정됐다고 밝혔다. 이 환자의 아버지는 가금류 판매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14일에는 허난성 카이펑(開封)시에서 식당 요리사인 34세 남성과 저우커우(周口)시 농부인 65세 남성이 H7N9형 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했다

창장삼각주를 벗어난 지역에서 H7N9형 AI 환자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 대만 위생서 산하 질병통제센터는 지금이 철새 북상 시점으로 저장(浙江), 장쑤(江蘇)성 등지에 머물던 철새 떼가 번식 등을 위해 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AI 바이러스가 확산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앞으로도 중국 북부권에서 지속적으로 신종 AI 감염 사례가 나올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특히 인구가 2000만 명에 달하는 수도 베이징시에서 H7N9형 AI가 확산하면 사회적 파장이 매우 클 것으로 보고 중국 방역당국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지금까지 관내의 가금류 사육·판매자, 살처분 관여자 등 연인원 40만 명을 상대로 H7N9형 AI 감염 검사를 했다. 또한 보건당국은 현재 독감 치료에 효과가 있는 타미플루 200만명분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이와 함께 교육당국도 매일 등교하는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체온검사 를 실시하고 신종 AI 발병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베이징과 인접한 허베이(河北)성 보건 당국도 최근 친황다오(秦皇島), 헝수이후(衡水湖), 바이양뎬(白洋淀) 등 철새 도래지 3곳에 대한 소독 등 방역 활동을 대폭 강화했다.

이러한 가운데 상하이시에서는 13일 H7N9형 AI 확진 환자 위(於)모씨의 남편인 구(顧)모씨 역시 H7N9형 AI 확진 판정을 받았다. 중국에서 친족 등 H7N9형 AI 환자와 밀접한 관계에 있던 사람이 H7N9형 AI에 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신종 AI의 인간 대 인간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보건 당국은 아직 사람 간 전염이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밝히며 주민들을 달래기에 나섰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은 휩싸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현재 중국내 신종 AI 감염자는 나날이 확산되고 있다. 14일 허난성에서 2명, 13일 베이징에서 1명 등 북부지역에서 H7N9형 AI 확진 환자가잇따라 발견되면서 14일 기준 중국의 전체 H7N9형 AI 감염자는 51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11명은 이미 사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