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중국을 방문한 존 케리 국무장관이 베이징에서 양제츠(楊潔篪)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만난뒤 "미국과 중국은 평화적 방식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를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고 AFP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양제츠 국무위원도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 진전에 전념해왔으며 미국을 포함한 당사국들과 함께 건설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양제츠 위원은 “한반도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면 모든 당사국의 이해를 고려해야 하고 모든 당사국이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며 대화를 위해 6자 회담 재개를 촉구했다. 하지만 양국은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케리 장관은 비핵화 추진 약속은 “수사가 아닌 실제 정책”이라며 “앞으로 빈칸을 채우기 위한 미·중 양국 간 고위급 접촉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베이징을 자주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리 장관은 또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도발’로 간주할 것이라면서 만일 북한이 비핵화를 이루고 위협이 해소된다면 미국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군사력 축소도 가능할 것이라고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이날 중국을 방문한 케리 장관은 양제츠 국무위원을 만나기 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리커창(李克强) 총리, 왕이(王毅) 외교부장 등을 만나 한반도 사태, 미국 양국관계, 시리아 등 중동 문제 등을 협의했다. 케리 장관은 시진핑 주석 등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도발을 중단할 수 있도록 중국이 압력을 행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중국 측은 이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를 강조하고 문제를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 방식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케리 장관은 14일 일본으로 떠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