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과학기술인.정보통신인 한마음대회에 이어 열린 미래창조과학부 현판식에 참석했다. |
박 대통령은 이날 축사를 통해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르네상스를 이뤄내고 제 2의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 갈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모두 한 마음이 돼 희망의 새 시대를 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이후 박 대통령은 미래창조과학부 현판 제막식에도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과학의 날과 정보통신인의 날을 맞아 미래창조과학부 출범을 계기로 양 진영이 화합하자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대통령이 과학기술인과 정보통신인의 기념 행사에 참석하고 부처 현판식에까지 참석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날 대통령의 행보는 미래부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박 대통령은 행사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연구실과 실험실, 산업현장에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발전을 위해 열정을 쏟고 계신 모든 과학기술인, 정보통신인 여러분께 깊이 감사를 드린다“고 격려하기도 했다.
산업발전의 원동력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이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자급자족도 어려웠던 가난한 나라가 자동차와 선박을 수출하는 중화학공업 강국으로 성장하고 다시 세계의 정보통신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전하기까지 여러분은 그 누구보다도 큰 기여를 해 오셨다“며 ”과거 우리나라가 산업화를 시작할 때 과학기술인들은 외국의 안정된 생활을 포기하고 돌아와 밤낮을 잊고 연구활동을 하면서 과학기술과 산업육성의 기초를 쌓았다“고 치하했다.
또 “정보통신인들은 불모지와 같았던 ICT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 기술 개발과 혁신에 몰두하면서 우리나라를 세계 정보통신 강국으로 발돋움시켰다“며 ”이제 여러분과 함께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창조경제 추진에 대해서도 당부를 했다.
박 대통령은 “과거처럼 앞선 나라를 따라가던 추격형 경제는 고용 없는 성장과 사회적 격차의 심화라는 구조적 한계에 봉착했다”며 “이제는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전환해서 선도형 경제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저와 새 정부는 창조경제를 통해 대한민국의 더 큰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며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큰 축이 바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 제2의 도약을 이끌어갈 창조경제 주역이 바로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이라며 ”여러분이 자부심을 갖고 안정적으로 연구하고 기술혁신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박 대통령은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공로로 훈장을 받은 박용현 두산건설 회장 등에게 직접 시상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