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화학부문 계열사인 포스코켐텍과 일본 미쓰비시상사, 미쓰비시화학은 22일 광양 동호안 공장부지에서 포스코 침상코크스 공장 착공식을 개최했다. 착공식에는 정준양 포스코 회장, 고바야시켄 미쓰비시 상사 사장, 사사키미키오 상담역, 이시즈까 미쯔비시화학 사장, 우윤근 국회의원,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이성웅 광양시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이 날 인사말에서 “포스코는 마그네슘·리튬·희토류·음극재에 이어 탄소소재사업에 진출함으로써 글로벌 종합소재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며 “미쓰비시와 포스코 양사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은 창조경제와 융합경제의 예시를 제시하고 있으며 동북아 협력과 평화에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연간 10만t 규모로 오는 2014년 준공되는 포스코 침상코크스 공장은 포스코 캠텍 60%, 미쓰비시 상사 20%, 미쓰비시 화학 20%의 합작투자로 광양 제철소 인근 22만6000㎡ 부지에 건설된다.
‘침상코크스’는 석탄을 고온건류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인 콜타르에서 기름 성분을 제거하고 열처리 공정 등을 거쳐 만들어진 바늘 모양의 고탄소 덩어리다. 침상코크스는 반도체, 발광다이오드(LED), 태양전지, 자동차 배터리로 사용되는 슈퍼커패시터 및 2차전지의 음극재, 전극봉 등 IT제품 소재로 주로 사용된다.
특히 이번에 포스코가 생산하게 되는 침상코크스는 미쓰비시 화학과 미국 코노코필립스 등 6개사만 제조가 가능한 프리미엄급으로 방향성 및 순도 측면에서 우수해 대형전극봉(24인치 이상)에 주로 사용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포스코는 기존에는 양 제철소 철강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콜타르 전량을 가공 없이 판매 했으나, 향후 침상코크스로 생산 판매해 기존 콜타르대비 약 5배에 달하는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침상코크스를 국내에서 생산·공급하게 됨에 따라 연간 7000억원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이를 원료로 하는 반도체, 2차전지, 전기 자동차 등 수요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는 벨트 콘베이어를 대형 파이프 안에 설치해 먼지 비산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냄새 성분을 포집, 소각 처리해 냄새없는 공장을 실현한다. 또한 소음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고 냉각수 재활용과 빗물을 활용으로 공업용수도 절약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