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국정목표인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국정과제인 ‘지식재산(IP) 창출·보호·활용 체계의 선진화’에 부합되는 금융지원 서비스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기보에 따르면 IP 기반의 기술금융 제도인 특허기술가치연계보증이 지난 2006년 도입돼 현재까지 꾸준히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는 특허권을 보유한 중소기업에 대해 기술가치평가금액 범위내에서(최대 10억원)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지난해 7월에는 지원 대상이 특허권을 포함한 유무형의 기술 노하우 전반으로 확대됐다. 시행 첫 해인 2006년에는 보증공급 금액이 302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1794억원으로 보증공급이 확대됐으며, 총 7866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기보는 지식재산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올해 2000억원의 신규보증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또 기보는 지난해 9월 기술사업 인프라가 취약한 지식재산 보유 창업기업에 대해 초기 사업화 자금을 집중 지원하는 ‘특허창업 특례보증’ 제도를 도입, 기술중소기업의 초기 자금난 해소에 앞장서고 있다.
기보 관계자는 “해외 선진국에서도 벤치마킹하는 선진화된 기술평가시스템과 15년 이상의 기술평가 노하우를 바탕으로 IP 경쟁과 기술사업화에서 국내 중소기업이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