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관계자는 24일 "코스닥 상장기업의 건전성을 파악해 투자자들의 손실을 막기 위해 운용돼온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제도가 그동안 코스닥 상장사는 물론 투자자로부터 항의를 받아 왔다"며 "이들의 의견을 수렴해 제도개선 방침을 확정해 올해 사업계획에 포함했다"고 밝혔다.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제도는 지난 2011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코스닥 상장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투명성 등을 고려해 '부실위험기업 산정기준'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지정·해지하고 있다.
환기종목 지정 및 해지는 매년 5월 최초 매매일인 정기 지정일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지정·해지돼 왔으며, 올해는 이날 현재 47개 종목이 환기종목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지정되는 기업들은 산출되는 내용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모르고 있으며, 기업 분석의 잣대가 되고 있는 '로짓분석' 자체가 복잡해 기업들이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거래소 관계자는 "올해 안에 환기종목 지정제도를 대폭 개선할 예정"이라면서 "우선 기업위험 정도를 계산하는 로짓분석 모형에 대한 용역을 실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거래소는 이후 전문가들을 통해 그간의 운용성과 등을 논의해 그 결과에 따라 환기종목 지정제도 개선방안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거래소는 아울러 그동안 너무 복잡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부실위험기업 선정 기준도 개선할 방침이다. 거래소는 상장법인의 주요 변수들을 양적변수 로짓분석 모형과 질적변수 로짓분석 모형에 각각 대입해 양적 부실확률 및 질적 부실확률을 산출해 부실위험기업을 선정했다.
한 코스닥 상장사 관계자는 "회사측 정책 차원에서 재무적인 부실을 털어내고자 단기적으로 재무수치가 안 좋게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또 로짓분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측할 수가 없어 코스닥 상장사들은 환기종목 지정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