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이달 25일까지 경매가 진행된 버블세븐 소재 아파트 물건 503건을 지난달 경매 진행된 526건과 비교 분석한 결과 서울 송파구와 양천구 목동, 분당·평촌신도시의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가율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송파구다. 송파구 소재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지난 3월 83.95%에서 이달 75.57%로 8.38%포인트 하락했다. 양천구 목동 역시 같은 기간 82.59%에서 75.79%로 6.8%포인트 떨어졌고 분당은 2.44%포인트 떨어진 76.06%, 평촌은 0.13%포인트 떨어진 80.03%로 집계됐다.
반면 서초·강남구와 경기도 용인시는 낙찰가율이 상승했다. 서초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3월 71.92%에서 4월 78.52%로 6.6%포인트 올랐다. 이어 강남구 아파트 낙찰가율이 76.22%에서 79.02%로 2.8%포인트, 용인 아파트 낙찰가율이 73.71%에서 74.07%로 0.36%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이에 따라 버블세븐 전 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3월 76.38%에서 4월 76.71%로 0.33%포인트 오르는 데 머물렀다. 같은 기간 서울·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이 76.97%에서 77.89%로 0.92%포인트 오른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상승세가 저조하다.
경매업계에서는 이처럼 강남과 서초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지역의 아파트 낙찰가율이 약세를 보이거나 오히려 내린 것에 대해 4·1대책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주택가격 기준에 대한 논란이 길어졌기 때문으로 보고있다.
취득세 및 양도세 면제 소급적용일도 대책 발표 후 3주가 넘어서야 정해지는 등 대책 시행에 따른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이어졌고 이에 실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6억~9억원 대 물건에 대한 입찰기피 현상이 초래됐다는 분석이다.
금액 구간에 따라 입찰이 편중되면서 상대적으로 경쟁률과 낙찰가가 낮은 감정가 10억원 이상 고가 매물들이 저가에 낙찰됐다.
이달 15일 경매된 감정가 28억원의 송파구 소재 아파트는 51.58%의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반대로 낙찰가 6억 미만인 물건들은 경쟁률도 높고 낙찰가율도 80%를 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전체 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아 낙찰가율 등락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목동의 경우 낙찰된 10개 물건 중 낙찰가가 6억~9억원 사이인 물건은 3건에 머물렀고, 분당은 낙찰된 29개 물건 중 단 4건에 그쳤다.
부동산태인 정대홍 팀장은 "버블세븐 소재 아파트는 일반매매 기준으로 보면 수혜를 받지 못하는 물건이 많지만 경매에서는 다르다"며 "감정가가 높아도 낙찰가를 6억원 미만으로 맞추면 얼마든지 수혜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달 3일 감정가 9억5000만원인 목동 소재 아파트가 반값도 안 되는 4억5000만원에 낙찰된데 이어 23일에는 감정가 6억원 이상인 강남구 소재 아파트 3개가 4억~5억원 대 낙찰가를 연달아 기록하며 주인을 찾았다.
정대홍 팀장은 "다만 경매시장 입찰 경쟁률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의도한 가격에 낙찰받기 힘들 수 있다"며 "경매정보는 물론 매매시세와 전월세 가격 등 관련 부동산 정보를 최대한 모아보고 분석해야 입찰가에서 우위에 설 수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