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23~25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2차 한·러 어업위원회 3차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러시아 수역 조업쿼터 배정 및 조업조건 등을 협의했다고 26일 밝혔다.
그러나 명태는 올해 총 4만t 가운데 2만500t만 배정하기로 했다. 잔여 명태 쿼터 1만9500t의 배정시기에 대해서는 양국의 입장 차이가 있어 차기 회의에서 결론을 내기로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협상결과를 분석하고, 러시아측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차기 회의(5월 중순)에서 타결을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협상 타결이 지연되고 있지만 원양·수입산 의존도가 높은 명태의 국내 가격과 수급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명태 수요(통마리 기준)는 연 26만t이며 원양어선이 러시아 수역에서 어획하는 양은 4만t으로 전체의 15%로 낮은 수준이다. 또 3월 기준으로 국내 명태 재고량이 6만5000t으로 여유가 있고, 소비자 가격도 평년 대비 16% 낮게 형성되고 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