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실장은 29일 오전 개성공단 대책 마련을 위해 긴급 출범한 정부합동대책반 회의에서 "토요일과 오늘(4.29)에 걸쳐 체류인원 철수가 사실상 마무리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한달간 북한의 통행 차단과 조업중단 이후 우리 기업인과 근로자들이 받은 고통은 헤아리 수 없다"며 입주 기업들 피해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또한 이번 개성공단 사태에 대해 "북한은 개성공단의 성공을 바라는 남북한 주민들과 국제사회의 기대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조업을 중단했다"면서 "(우리)정부는 개성공단 정상화를 추구해 왔으나, 체류인원의 철수는 우리국민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사태의 원인이 북한에게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날 회의는 정부가 4월 24일 피해를 입은 입주기업들을 위해 이미 개략적인 지원방향을 발표했지만 좀 더 범정부적 대응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정부합동대책반을 긴급히 출범시키면서 이뤄진 것이다.
정부는 특히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대부분 영세 중소기업인 만큼 이번사태로 정상적 경영활동이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기업이 조속히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용수단을 총 동원, 실질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그동안 정부정책을 믿고 개성공단에 투자한 기업들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입주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각 부처가 책임감을 갖고 관련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