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은 이날 외교부와 동아시아연구원이 개최한 국제회의에서 "(이런 문제제기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강력한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 강해야 할 때는 강하고 유연해야 할 때는 유연한 정책이라는 점을 간과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는 국민의 안전이라는 국가 책무에 따라 (개성공단 잔류인원) 전원 귀환 결정을 했지만 그럼에도 대화의 문은 여전히 열어 두고 있다"며 "정부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기조 아래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강력한 대북 압박과 강력한 설득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이어 동북아 갈등과 관련해 "동북아의 불신대결 구도를 미래를 위한 신뢰협력 구도로 바꿔나가는 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라며 "작지만 의미 있는 일부터 시작해 협력 습관·환경을 만들어 신뢰를 축적하고 평화롭고 책임 있는 동북아 시대를 위한 여정을 시작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를 둘러싼 외교·안보 환경은 어느 때보다 엄중하며 동시다발적 도전이 다가오고 있다"며 강력한 억제력에 따라 평화를 확실히 지키고, 신뢰외교로 평화를 적극 만들어 나가겠다는 것이 정부의 대응 방향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