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방침인 완전철수는 안됐지만 이들의 체류 기간에는 어느 정도의 대화 통로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개성공단 사태의 새로운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개성공단에 체류했던 43명은 당초 귀환예정 시간보다 7시간 이상 지연된 30일 0시 30분께 차량 42대에 나눠타고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귀환했다.
홍양호 위원장을 포함한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직원 5명과 통신을 담당하는 KT 직원 2명은 남아서 북측 노동자 임금 등 미수금 문제를 협의하기로 했다.
당초 정부는 50명을 29일 오후 5시에 귀환시킨다는 계획을 북한 측에 통보했지만 미수금 문제를 해결하라는 북측의 요구에 막혀 진통을 겪었다.
북한은 북측 근로자에게 미지급된 3월 임금인 720만달러(약 80억원)에다가 소득세, 통신료 등 800만달러 안팎을 우리 측에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지난 3일 개성공단 통행을 차단함에 따라 우리측 현금수송 차량이 공단에 진입하지 못해 북한 측 근로자 5만3000여명은 평균 134달러 수준인 3월 임금을 받지 못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