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유통업체들은 이 같은 창조경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모습이다.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유통업체들에 창조경제를 금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것은 일체 하지 말고, 물가 안정과 골목상권과의 상생에나 노력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이 같은 정부의 압박에 식품업체들은 소비자가격을 10원 올리는 것도 눈치를 보고 있다. 유통업체 역시 신규 출점을 계획만 해도 죄인 취급을 받는다.
한 나라 경제의 척추라고 할 수 있는 내수시장을 막아놓은 꼴이다. 그러면서 유통업체에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라고 하니 모순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경제에서 가장 창조적으로 접근해야 할 부분은 내수다.
대외무역 중심의 경제는 유가·환율 등 통제할 수 없는 수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내수는 다르다. 때문에 한 나라의 진정한 경쟁력은 내수의 단단함에서 나온다. 중국이 과거와 달리 내수 중심으로 경제정책을 집중시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자리 창출 역시 마찬가지다. 제조업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어렵다. 때문에 서비스업이 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하지만 유통업체들은 투자를 멈췄고, 동시에 신규 일자리 창출도 막혔다.
또 유통업 규제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많은 이해관계자들에게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유통업에는 농민·중소기업 등 생산자를 비롯해 대형마트·백화점 등 판매자, 그리고 소비자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얽혀있다.
실제로 최근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무휴업으로 줄어든 대형마트 매출 가운데 20%만 전통시장으로 유입됐다. 오히려 2조원이 증발해 버렸다.
창조적으로 접근했을 때 수없이 많은 방안이 나올 수 있는 업종이 유통이다. 창조경제, 이제는 유통업체들에도 허락해야 할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