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외환보유액은 2월 3274억 달러에서 3월 3274억1000만달러를 거쳐 4월까지 2개월 연속 증가해 사상 최고를 기록한 1월의 3289억1000만달러에 근접했다.
이는 외화 자산 운용수익과 함께 유로, 파운드화 등 강세를 보인 통화 표시 유가증권의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외환보유액 구성은 유가증권이 33억3000만달러 늘어난 2994억5000만달러(91.1%)로 가장 많았다. 예치금은 19억7000만달러가 줄었지만 184억4000만달러(5.6%)로 두번째였다.
이밖에 금 47억9000만달러(1.5%), 국제통화기금 특별인출권(SDR) 34억4000만달러(1.0%), 국제통화기금(IMF) 포지션 26억7000만달러(0.8%) 등이었다.
3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화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로, 전월과 같았다. 1위는 중국(3조4400억달러)이고, 일본(1조2544억달러), 러시아(5277억달러), 스위스(5224억달러), 대만(4019억달러), 브라질(3769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