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운태 광주장과 지역 국회의원, 시민단체 대표 등 10여명은 지난 5일 광주의 한 호텔에서 간담회를 갖고 임을 위한 행진곡이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공식 노래로 지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이 지난 82년부터 우리나라 민주역사와 함께 시민들 사이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불러 온 5월의 노래로 상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건한 마음으로 제창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공식 식순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 기념식 공식 노래로 지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정부가 5·18민주화운동 공식 기념곡으로 새로 제정하기 위해 책정된 예산(4800만원)은 5·18정신을 전국화·세계화를 위한 선양사업에 사용토록 촉구할 계획"이라며 제3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대통령과 국회 정당대표 등 각계각층 인사들이 참석해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고 국민 대통합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데 함께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오재일 5·18 기념재단 이사장, 방철호 광주시민사회단체총연합회 대표, 정영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대표 등 시민사회단체와 5월 관련단체 인사 10여명은 조만간 새누리당, 민주당 등을 방문해 임을 위한 행진곡이 5·18 기념식 때 제창됨과 동시에 공식 노래로 지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5·18유족회 등 5월 단체의 반발도 거세다.
5·18 관련 3단체(5·18구속부상자회, 부상자회, 유족회)와 5·18 기념재단은 지난 3일 성명을 내고 "국가보훈처에 33주년 5·18 기념식 공식 식순에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요구하며 관철되지 않을 시 3단체장은 행사 참석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공식 식순에서 배제되면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사퇴를 촉구할 방침이다.
민주당 강기정 의원 등 야당의원 56명은 지난 3일 이 곡을 5·18 33주년 기념 식순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앞서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지난 2일 광주를 방문해 ‘임을 위한 행진곡’의 공식행사 포함여부에 대해 "공식식순에 포함하되 참석자 제창이 아니라 합창단의 합창으로 사실상 검토하고 있다"며 "5월 행사 뒤 임을 위한 행진곡이 아닌 5·18 공식기념 노래 제정을 강행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제33주년 5.18기념식은 오는 18일 광주 운정동 국립5·18묘지에서 정부 주관으로 열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