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심장판막이식 수술로 건강을 되찾은 한 환자와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제공=서울대병원] |
6일 서울대학교병원은 대동맥판막 치료팀이 2011년 7월 경-도관 대동맥판막 거치술’을 시행한 이후 현재까지 20 여건의 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시술과 관련된 사망 및 합병증은 없었으며, 시술 실패로 인해 응급수술로 전환된 경우도 발생하지 않았다.
시술받은 환자들은 80대 이상 고령이고 그 중 최고령 환자는 96세다.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모두 시술 직후의 합병증이 없이 심장판막을 안전하게 이식받았다.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경-도관 대동맥판막 거치술은 지난해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돼 활성화 되고 있다” 며 “연약한 고령 환자라도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진단받았다면 병원을 방문해 상담하는 것이 안전하다” 고 말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 운동으로 심장에서 온 몸으로 혈액을 보낼 때 혈류가 심장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지고 잘 열리지 않아 심장의 혈액순환이 원활이 이뤄지지 않는 질환이다.
주로 고령, 고혈압, 흡연 등의 이유로 잘 발생되고 고령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환자 수는 증가하고 있다.
흉통·실신·심부전과 같은 증상이 생기면 평균 생존 기간이 1~ 3년에 불과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