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고용정보원이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 자료를 집계해 분석한 결과를 보면 올해 3월을 기준으로 20대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2.3% 포인트 감소한 55.8% 까지 떨어졌다.
20대 고용률은 3월을 기준으로 봤을때 2009년 56.9%, 2010년 57.2%, 2011년 57.1%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58.1%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올해 상승세가 꺾이며 역대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54.4%로 작년 대비 2.8% 포인트 줄었고 여성은 2.0% 포인트 감소한 57.0%로 떨어졌다.
이는 20대 생산 가능 인구는 늘었지만 취업자 수가 현격히 줄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자료에 다르면 올해 3월 20대 생산가능 인구는 626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0.6%(4만명) 늘었다. 그러나 취업자 수는 349만3000명으로 전년(361만7000명)보다 3.4%(12만4000명) 줄었다.
남성 취업자수는 166만3000명으로 3.2%(5만6000명) 줄었고, 여성 취업자수는 3.6%(6만8000명) 감소한 183만명으로 집계됐다.
20-24세 취업자 수가 작년 대비 1.0%(1만2000명) 늘었지만 25-29세는 5.6%(13만7000명) 줄면서 이들 연령층이 청년 취업난의 한가운데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자리 질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업종에서 20대 취업자수가 대거 줄어든 것으로 나와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20대 고용률은 올해 2월 역시 역대 최저인 55.3%를 기록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