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개성공단에 대한 전력공급과 관련, "원래 10만kW가 가고 있는데 현재는 최소한의 전기가 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류길재 장관도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4월 27일부터 (전력공급을) 줄였다. 공단의 정상운영이 안 된 게 한 달 정도 됐다. 많은 양이 필요 없어 송전이 아닌 배전방식으로 줄였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문산변전소로부터 1㎞의 송전선로를 거쳐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공급해 왔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kW 수준이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현재는 전력공급의 축소로 개성공단에 하루 3000kW가량의 전력이 공급된다"면서 "이 정도면 관리 사무동의 전등과 정수장을 돌리는 데 충분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3000kW면 일반 가정용으로 계산하면 약 3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정부 당국자는 전력공급이 준 것에 대해 "우리측 인원이 철수한 직후 전력공급량을 대폭 줄인 것이 아니라, 가동 중단사태로 인해 수요량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공급량이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애초 우리측 체류인원이 전원 무사히 귀환한 후 단전·단수 등 사후조치에 대한 입장을 정할 예정이었지만 현재로서는 일단 단전·단수는 하지 않는 선에서 공단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류 장관도 단전·단수 문제에 대해 "결정이 안 됐다는 게 정확하다"면서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대변인은 아울러 우리 인력 귀환에 따른 전력공급 차질에 대해 "한전 직원이 돌아와서 현재 관리인력이 없다"면서도 "물리적으로는 전기가 (남에서 북으로) 흘러가는 데 결정적 장애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또 입주기업 피해 실태조사와 관련해서는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주내에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아직 우리 정부의 군 통신선과 판문점 채널 재개 요구에 대해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