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최소 전기 1/10 줄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5-06 18: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수요 부족으로 인한 자연스런 감소

아주경제 오세중 기자=정부가 개성공단의 전력수요가 줄어듦에 따라 최소한의 전력만 북쪽으로 송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개성공단에 대한 전력공급과 관련, "원래 10만kW가 가고 있는데 현재는 최소한의 전기가 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류길재 장관도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4월 27일부터 (전력공급을) 줄였다. 공단의 정상운영이 안 된 게 한 달 정도 됐다. 많은 양이 필요 없어 송전이 아닌 배전방식으로 줄였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문산변전소로부터 1㎞의 송전선로를 거쳐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공급해 왔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kW 수준이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현재는 전력공급의 축소로 개성공단에 하루 3000kW가량의 전력이 공급된다"면서 "이 정도면 관리 사무동의 전등과 정수장을 돌리는 데 충분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3000kW면 일반 가정용으로 계산하면 약 3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정부 당국자는 전력공급이 준 것에 대해 "우리측 인원이 철수한 직후 전력공급량을 대폭 줄인 것이 아니라, 가동 중단사태로 인해 수요량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공급량이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애초 우리측 체류인원이 전원 무사히 귀환한 후 단전·단수 등 사후조치에 대한 입장을 정할 예정이었지만 현재로서는 일단 단전·단수는 하지 않는 선에서 공단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류 장관도 단전·단수 문제에 대해 "결정이 안 됐다는 게 정확하다"면서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대변인은 아울러 우리 인력 귀환에 따른 전력공급 차질에 대해 "한전 직원이 돌아와서 현재 관리인력이 없다"면서도 "물리적으로는 전기가 (남에서 북으로) 흘러가는 데 결정적 장애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또 입주기업 피해 실태조사와 관련해서는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주내에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아직 우리 정부의 군 통신선과 판문점 채널 재개 요구에 대해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