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는 이날 오후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 민주당 대표,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을 만나 "제3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대통령과 국회 정당대표를 비롯한 각계각층 인사들이 모두 함께 참여해 5.18민주화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 국민 대통합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데 함께 해 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제3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의 공식식순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반드시 넣어서 참석자들이 함께 제창할 수 있도록 할 것과, 보훈처에서 추진하는 새로운 오월의 노래 제작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민주화운동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할 것 등의 입장을 전달했다.
대책위는 이 같은 입장전달에 여야 대표 등은 적극적으로 동의하고 협조해 줄 것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강운태 광주시장과 조호권 의장, 장휘국 교육감, 지역 국회의원, 5.18단체,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국회에는 정춘식 5.18민주유족회 회장, 안성례 전 시의원, 방철호 광주시민사회단체총연합회 대표, 정영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대표 등 9명이 방문했다.
국가보훈처는 제33주년 5.18기념식 공식식순에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포함시키지 않고 별도의 기념곡을 제정하기 위해 예산 4800만원을 책정해 각계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