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북한은 핵보유와 경제발전의 동시 달성이라는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세웠다”며 절대 실현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즉 핵을 보유하면서 경제 지원을 원하는 ‘병진정책’이 절대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메시지다.
약 30여 분간 이어진 연설에서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하지만, 영·유아 등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인 지원은 정치상황과는 관련 없이 해나갈 것”이라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주창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러한 원칙에 동의했다고 박 대통령은 덧붙였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하나로 비무장지대(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는 방안 등을 앞으로 한국과 미국 정부가 추구해야 할 세 가지 여정 중 첫 번째로 꼽았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원하면 충분히 동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두 번째 여정으로 제시한‘동북아협력구상(서울 프로세스)’에서 동북아시아 평화와 번영에 최근 일본의 우경화를 우려한 듯 “역내 국가의 경제적 역량과 상호의존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과거사로부터 비롯된 갈등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더 나아가 박 대통령은 한반도 등 동북아 지역이 주도가 되어 지구촌 평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세 번째 여정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한국과 동북아가 모범을 보여 지구촌 이웃들이 평화와 번영을 누려야 한다”며 ‘21세기 포괄적 전략 동맹’을 제시했다.
두 나라 정상이 회담에서 합의한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과 한국에 할당되는 전문직 비자쿼터를 위한 미 의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의회에 계류 중인 한국에 대한 전문직 비자 쿼터 관련 법안이 통과되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한국전쟁부터 최근까지 3대가 주한미군으로 복무한 데이비드 모건 중령 가족을 소개하며 한미 혈맹 관계의 예를 들었다. 1992년과 2005년 두 차례 주한미군에 복무한 모건 중령의 조부는 한국전쟁에 해군 예비군 지휘관으로, 부친은 미 213야전포병대대 중대장으로 참전했다. 박 대통령은 의회 연설에 직접 참석한 모건 중령과 부친을 직접 의원들에게 소개, 기립 박수를 받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한강의 기적을 한국민은 기적이라고 부르지 않는다”며 “전쟁이 끝난 1953년 1인당 국민소득이 67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의 무역규모가 세계 8위가 된 것은 대한민국 국민이 독일의 광산에서, 월남의 정글에서, 열사의 중동 사막에서 많은 땀을 흘렸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 이날 연설을 통해 6번의 기립박수를 포함해 41번의 박수를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