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복수의 언론매체 등에 따르면 정부와 청와대는 청와대 서별관에서 열리는 경제금융점검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입국장 면세점은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때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도입 논의가 있었지만 부처 합의가 불발됐었다. 이후에도 국회에서 3차례 법안이 발의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입국자 면세점을 찬성하는 쪽은 소비 진작과 공항 경쟁력 제고를 이유로 든다. 관광객 증가가 투자활성화로 이어져 서비스 산업의 외연을 넓힐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반면 반대론자는 이용 혜택이 일부 계층에만 돌아가고 국내에서 소비되는 만큼 소비지 과세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에 대해 국토부측은 “입국장 면세점 설치문제와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결정된 사항이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