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직자들이 윤창중 청와대 전 대변인의 성추문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전에도 공직자들이 여러 차례 성추행과 성접대 등의 논란이 있었지만 공무수행 중에 그것도 대통령을 수행하는 공무 중에 불상사가 일어난 사례는 없었다며 뼈저린 반성이 필요함을 촉구하고 있다.
국가 원수를 보좌하는 상황에서 발생한 사건은 어떤 이유에서 든 용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공직자들의 반응이다. 이에 따라 공직기강 확립이 대대적으로 시행 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13일 기획재정부 등 정부세종청사 입주 부처에 따르면 이번 성추문 파문이 정부 부처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노심초사 하는 모습이다.
윤 전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이 일파만파 번지면서 정부 고위공직자들의 해외 출장시 성추행 경계령이 떨어진 것이다.
특히 해외 출장이 잦은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과 국제금융협력국은 별도의 지침을 내리지는 않았지만 자칫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계심이 팽배하다.
기재부 한 고위공무원은 “해외 출장을 가면 시차 적응부터 업무까지 어려움이 많아 술 한잔하고 잠을 청할 때가 많다”며 “이번 사건 때문에 이런 일까지 구설수에 오를까봐 걱정된다. 해외에서 더 조심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더구나 박근혜 대통령이 윤 전 대변인 사건에 대해 이날 대국민 사과를 했고 후속 조치로 방미 수행 공무원 전원을 감찰할 뜻을 내비치자 정부 부처는 착잡한 분위기다.
일부 부서에서는 여직원이나 부처 계약직·인턴 여사원들과 늦은 시간까지 회식이나 사기 진작 차원의 모임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세종청사 부근 원룸에서 생활하는 국장급 이상 직원들도 당분간 밤에 바깥출입을 자제하겠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세종청사 입주 당시 나돌던 꽃뱀 사건이 재현되기라도 하면 지금 같은 분위기에 공직자 생활을 마감해야 할 처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종청사 주변 한 입주 공무원은 “윤 전 대변인 사건으로 공무뿐만 아니라 사적인 자리에서도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할 경우 처벌수위가 높아질 것”이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직사회가 경직되는 것은 아닐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