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업종은 경기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띠고 있어,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은행의 부실 또한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19일 한국은행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16개 시중은행의 대기업 여신 221조원 가운데 건설·부동산 부문 여신이 27조원, 조선이 26조원, 해운이 1조6000억원에 달했다. 전체 대기업 여신의 25%(54조6000억원)가 이들 취약업종에 몰린 것이다.
국책은행으로 대규모 여신이 많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세 업종에 대한 여신액은 27조6000억원이다. 두 국책은행까지 포함하면 건설·조선·해운 부문의 총 은행권 여신액은 82조2000억원에 달한다.
한은은 해당 업종의 자산, 부채 등을 분석한 결과 앞으로 1년 이내 부도가 날 확률은 건설업이 9.1%, 해운업이 8.5%, 조선업이 5.9%일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건설업의 영업이익률이 0.1%까지 추락하고, 해운업은 아예 -3.8%로 적자상태로 돌아서는 등 업황이 나날이 악화된 결과다.
이미 은행권에서는 연체 등 부실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건설업종의 경우 전체 여신 중 연체 발생 비율이 13.2%에 달한다. 조선업종도 그 비율이 12.6%다.
건설, 조선경기의 침체가 길어질수록 이 비율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은행이 쌓아야 할 충당금이 그만큼 불어난다는 뜻도 된다.
이미 100대 건설사 중 23개 사가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이나 법정관리(기업 회생절차)에 들어갔다. 조선사 역시 STX조선과 성동조선해양 등이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었다. 채권단은 자율협약을 맺은 기업에 대해 대출금의 최소 7%, 워크아웃에 들어간 기업은 최소 2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이들 취약업종의 부실이 커지면 국내 은행 건전성은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막대한 충당금을 쌓고 기업 회생을 위한 신규자금 지원 등에 나서는 등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금융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