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19일 295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올해 1분기 유연근무제 추진현황을 점검한 결과 임직원 29만9600명 중 8.1%인 2만4400명이 유연근무제를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7% 증가한 수준이다.
유연근무제는 주40 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시간제 근무, 주40 시간을 근무하되 출퇴근·근무시간·근무일을 자율 조정하는 탄력근무제, 특정한 근무 장소를 정하지 않고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근무하는 원격근무제 등을 의미한다.
탄력근무제는 전반적으로 도입기관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출근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시차출퇴근형에 편중(93.1%)되는 경향이 있었다.
주5일 근무하되 1일 8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근무시간선택형, 주5일 미만으로 근무하되 주당 40시간을 채우는 집약근무형, 출퇴근 없이 프로젝트 수행으로 주 40시간을 인정받는 재량근무형은 상대적으로 이용도가 낮았다.
주당 40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제는 118개 기관이 도입했다.
처음부터 단시간 근로자로 채용한 사람은 6386명, 신청에 따라 전일제에서 단시간제로 전환한 근로자는 297명이었다. 전환형의 경우 출산·육아를 위해 여성들이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원격근무제는 20개 기관만 활용 중이다.
그러나 국립대병원, 항만보안공사 등 근무형태상 교대근무가 주를 이루는 기관이나 골프장과 같은 서비스 업종 등 88개 기관은 현재 유연근무제를 채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