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28일 최근 사회 각 분야에서 빚어지는 갈등과 관련, “각 부처와 공공기관도 보다 체계적인 갈등관리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뒤 마무리 발언을 통해 “최근 주요기관 시설이나 님비 현상과 관련된 시설의 설치와 이전을 비롯해 문화재 보존과 개발 사업 등 여러 정책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국책사업을 시작할 때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이 좋겠다”며 “그래도 불가피하게 갈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중립적인 갈등중재기구를 설치해서 활용하거나 갈등 해소를 위한 상시적인 협의 조정 기구를 두는 등의 갈등관리시스템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언급은 한전과 주민간 충돌 사태까지 발생한 밀양 송전탑 사태나 문화재청과 울산광역시가 10년 넘게 대립하는 사이에 제 모습을 잃어가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 주민 기피시설로 지목돼 13년째 청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성남권 보호관찰소 등을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갈등이) 시작된 지가 7~8년 됐는데 그 세월동안 뭘 하고 있었느냐는 얘기를 매번 듣게 된다”며 “갈등 해결에는 관계 부처와 공공기관이 주인의식을 갖고 헌신적이고 진정어린 자세로 풀어나가는 노력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해 세종청사 행정 효율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피력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세종청사 근무환경 개선과 행정효율화 추진 상황과 관련해서 세종시로 옮겨갈 때는 과학기술, ICT의 뒷받침을 받는다는 것이 전제로 깔려 있다”며 “그런데 그것을 충분히 활용을 못한다면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그런 것을 활용해서 원격화상회의도 할 수 있는데도 대국회 업무와 관련해 매번 공무원들이 가야 되는 등 비효율적이라는 여러 지적도 많이 많았지만 그냥 관례대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 세종청사로 옮겨진 마당에 그것을 오히려 기회로 생각해서 대국회 활동이라든가 대정부질문할 때에 공무원들의 출장 등의 부분에 있어서 확실하게 효율적으로 되도록 해서 그런 관행을 확 바꾸는 계기로 삼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