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5/28/20130528000602_0.jpg)
28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은행들은 이번 주 여신정책 회의를 열고 1070억원의 출자전환과 4450억원의 신규 자금지원에 대한 찬반을 결정한다.
출자전환이 부결되면 신규 자금지원도 이뤄지지 않아 쌍용건설의 워크아웃은 무산된다.
채권단 사이에서는 워크아웃 대신 법정관리로 가자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이날 회의를 여는 산업·신한·국민은행과 오는 30일 회의가 예정된 하나은행 역시 워크아웃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앞서 30여개의 저축은행은 쌍용건설에 지원에 대해 반대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크아웃은 채권단의 75%가 동의해야 개시된다.
채권단 관계자는 “지원의 실익이 별로 없다”며 “채권단의 경우 채권회수율을 따지는게 우선인데 쌍용건설의 경우 불안 요소가 많다”고 전했다.
채권단은 앞서 쌍용건설에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매입과 출자전환 등으로 3700억원을 지원했다. 현재는 2400억원의 신규 해외 지급보증이 논의 중이다. 여기에 추가 출자전환과 유동성 공급을 포함하면 1조1600억원 규모의 자금이 투입된다. 이는 기존 채권 1조3000억원에 맞먹는다.
한 은행 관계자는 “쌍용건설의 워크아웃이 처음도 아닌데다 신규 지원자금 규모가 너무 크다”며 “게다가 캠코 등이 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아 다들 눈치만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쌍용건설 측은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검토가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회계법인 실사에서 해외사업 부문을 비롯해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법정관리로 가게되면 현재 수주가 유력한 해외사업 20조원 중 당장 8조원 규모가 날아간다”며 “1400개의 협력업체들과 함께 워크아웃을 위해 노력해왔는데 지금 무산되는 것은 타격이 너무 크다”는 입장이다.
다만 실사 보고서에 따르면 쌍용건설은 우이동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1150억원에 대해 미상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채권단 관계자는 “추가 유동성 4450억원을 또 출자전환해야 한다”며 “매각에 실패하면 주가가 폭락할텐데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법정관리로의 전환도 쉽게 이뤄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들이 법정관리로 마음을 굳혔다면 굳이 워크아웃에 대한 부동의 의사를 미룰 이유가 없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처음부터 법정관리로 갔으면 문제가 더 적었을 것”이라며 “지난 2월 캠코의 반대로 워크아웃이 결정된 만큼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