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대출 연체율은 2월 말 1.99%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집단대출 중 중도금대출 연체율은 5.48%로, 시공사의 대위변제가 늘어나면서 3월 말(5.81%)보다 0.33%포인트 줄었다.
하지만 집값 하락에 따른 입주예정자와 시행사의 분쟁으로 2011년부터 급등한 집단대출 연체율은 아직 집단대출 이외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43%)을 크게 웃돌고 있는 상황이다.
4월 말 국내은행의 가계 집단대출 잔액은 102조5000억원이다. 이는 가계대출(460조6000억원)의 22.3%, 주택담보대출(312조8000억원)의 32.8% 수준이다.
집단대출 잔액은 부동산경기 부진과 관련 분쟁 영향으로 지난해 12월(103조9000억원) 이후 네 달 연속 줄었다. 종류별로는 잔금대출이 63조4000억원(61.8%), 중도금대출이 28조5000억원(27.8%), 이주비대출이 9조5000억원(10.4%)이다.
지난해 아파트 건설 실적이 다소 나아지면서 올해 중도금대출과 이주비대출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잔금대출은 분쟁에 따른 입주 지연 등으로 2011년 이후 감소 추세다.
3월 말 현재 집단대출 부실채권비율은 1.39%로 전 분기 말(1.28%) 대비 0.11% 포인트 올랐다. 이는 가계대출(0.78%), 주택담보대출(0.72%)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기업대출(1.79%)에 비해선 낮다.
4월 말 현재 집단대출 분쟁사업장은 모두 64곳(은행별 중복 제외), 관련 대출잔액은 2조2912억원이다. 현재까지 18건의 소송이 종결됐지만 입주 예정자가 승소한 경우 시행사를 상대로 일부 손해배상을 인정받은 1건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집값 급락에 따른 분쟁과 대출자의 중도금 상환 거부로 연체율이 높다"며 "하지만 이런 상황이 은행 부실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