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일 미국에서 정상회동을 가진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모습. 정상회동 당시 '사이버 안보'도 주요 의제로 언급됐다. [사진출처=신화사] |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 공산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산하 환추스바오(環球時報)가 '스노든 폭로'사건에 대한 미국의 태도를 연일 비판하고 나섰다.
14일에는 "전 중앙정보국(CIA) 직원인 에드워드 스노든 폭로와 관련해 미국은 전 세계 누리꾼에데 이를 해명해야 한다"며 미국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또한 "미국이 지금까지 자국은 도덕적으로 높게 평가하면서 다른 국가를 비난해왔다"며 "우리는 미국의 위선적인 태도를 객관적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스노든은 지난 13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2009년 이후 홍콩, 중국 등을 대상으로 해킹을 일삼고 개인정보를 수집했다"고 폭로했다.
환추스바오는 "미국이 자국의 안보를 위해 타국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은 없으며 중국인 가입자가 상당한 구글, 야후 등이 주요 감시대상인 만큼 중국이 최대 희생양일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15일자 기사에서는 심지어 미국이 에드워드 스노든과 중국의 연관설, 즉 '짜고 쳤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난처한 상황을 모면하고자 근거없는 음모론까지 제기했다"면서 "더러운 물튀기기'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이는 스노든이 13일 미국의 해킹사실을 폭로한뒤 마이크 로저스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이 스노든과 중국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힌 것에 반발한 것으로 보인다. 환추스바오는 심지어 미국 언론인 월스트리트저널(WSJ)조차도 "로저스 정보위원장이 의혹은 제기했지만 아무러 증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지적했다고 전했다.
이외에 미국의 스노든 범죄인 인도 청구에 대해서도 중국이 순순히 응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미국이 중국을 어느 정도까지 해킹했는지 제대로 해명하도록 요구하고 협조 정도에 따라 인도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홍콩 여론도 스노든 송환에 반대하는 쪽으로 기운 것으로 조사됐다. 홍콩 SCMP가 중문대 커뮤니케이션 여론조사센터에 의뢰한 여론조사결과 총 조사 대상자 509명 중 49.9%가 스노든 송환에 '반대'하거나 '매우 반대' 한 것으로 집계됐다. 스노든을 미국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17.6%에 불과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14일 최근 미국과의 해킹 공방 등 인터넷 현안을 전담처리하는 '인터넷사무판공실' 설치를 공식 발표하는 등 단호한 입장을 재차 확인시켰다고 중국 관영 신화(新華)사가 보도했다.
이는 미국이 '사이버 안보'를 이유로 중국을 압박을 가하고 중국도 피해자라며 이에 반발하는 등 사이버 안보문제가 점차 외교문제로 비화됨에 따른 대책으로 분석된다. 특히 스노든과 그의 인도 문제를 두고 갈등이 예상되고 있어 인터넷사무판공실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은 그간 미국의 중국 해킹 공격 주장에 대해 자국도 사이버 공격의 주요 피해자라며 모든 형태의 사이버 공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14일 인터넷 사이버판공실 설치사실을 공표한 외교부 화춘잉(華春瑩) 대변인도 "중미 전략대화의 틀을 바탕으로 미국과 사이보 안보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할 것"이라고 밝혀 외교적 루트를 통해 스노든의 폭로 내용을 미국에 제기할 것임을 시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