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방내리에서 영남지방 최대의 기와가마군 발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6-18 16: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C구역 기와가마 전경 및 세부위치. [사진제공=경주시]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영남문화재연구원(원장 박승규)은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경주시 건천읍 방내리 일대의 경주 동해남부선 연결선 건설 공사 구간에서 고려∼조선시대의 대규모 기와가마군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와 관련 현장설명회(공개)를 이날 오후 2시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했다.
현재 철도노선과 관련한 공사 구간에서 확인된 기와가마는 28기이며 주변으로 많은 수의 기와가마가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현지조사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
발굴조사단에 따르면 이 일대는 영남지방 최대의 고려~조선시대의 기와를 생산한 대규모 가마군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와가마와 관련한 수비장(흙을 정제하여 점토를 얻어내는 장소)이나 채토장(가마의 천장이나 기와를 만들 때 사용하기 위해 흙을 채취하는 장소)으로 추정되는 수혈(구덩이)과 구(도랑) 등의 유구도 다수 확인됐다.
가마는 출토유물과 구조를 분석한 결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그 조업시점이 구분된다.
고려시대 기와가마는 연도부(굴뚝)가 급격히 좁아져 있고, 연소실(연료를 태워 가마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유지시키는 부분)이 이전 시기(삼국~통일신라시대)에 비해 커짐으로 인해 소성실(기와를 적재하여 굽어내는 부분)의 규모가 작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평면형태가 장방형인 반지하식의 등요(언덕의 경사면에 터널형으로 길게 설치한 오름가마)로, 전체 길이는 11m 정도이고, 최대너비는 2∼3m에 달하는 대형 가마이다.
전반적으로 연소실이 수직연소식(아궁이가 아래로 뚫려 있지 않아 땔감을 위에서 아래로 던져 넣어야 하는 구조)이고, 소성실이 2개로 구분되는 구조가 확인되기 때문에 조업기간이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은 12세기 이후 유행하는 일휘문(반구형의 돌기문양) 암막새와 조선 전기대로 편년되는 범자문 수막새, 명문이 찍힌 우설형 수막새 등의 막새류와 직선계 삼각집선문, 곡선계 호상집선문 등이 타날(두드려 날을 찍은 것) 된 평기와가 주를 이룬다.
또한 기와가마 소성실에서 기벽이 두꺼운 사찰용(사찰에서 쓰인 제사용기로 추정, 미정) 제사 토기가 1∼2점 확인되는 것도 특징적이다.
발굴 관계자는 "고려 이전부터 조선 전기대까지 오랜 기간 동일 능선에서 조업이 이루어져 해당시기 가마 구조의 변천 및 조업방식 변화 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중복 축조된 유구와 출토유물을 통하여 축조순서를 파악할 수 있어 이 시기 기와 편년연구에 양호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부 자료이지만 가마 내부에서 기와가 적재된 상태로 확인되어 조업 당시 기와의 적재방식 추정과 옛 기록(조선시대 화성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의식 등을 기록한 책)에 남아있는 1회 기와 조업량과의 비교 자료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