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의 치매유병률 조사결과에 의하면 2012년 치매추정환자는 전국이 54만 명이며, 전북은 2만7000명으로 전체 노인의 9.18%가 치매환자로 추정되고 있다.
치매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가정에도 부담이 큰 질환이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관리하면 진행 속도가 지연되는 만큼 조기 치료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전북도에서는 전국에서 서울에 이어 두번째로 2011년 전라북도치매관리센터를 설치, 치매예방관리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시·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14개소, 치매거점병원 1개소, 치매협약병원 34개소, 치매관련기관 1188개소 등 지역사회 기반 구축을 통해 치매전달체계를 확립해 치매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한 42억8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치매무료조기검진 및 치매치료관리비(약제비월3만원 실비) 지원, 음악요법․원예요법․미술요법․운동요법 등 다양한 재활프로그램 지원, 인식개선 치매예방 교육 및 홍보, 지역사회 자원 양성교육, 치매가족지지 프로그램 운영, 시군 치매상담센터 기술지원, 재가복지서비스, 방문건강관리, 요양병원 및 시설 이용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성과로는 치매조기검진은 2012년도에 11만8000명을 실시했으며, 치매환자 등록관리는 현재 2만4000명으로 등록률 87.7% (`12년 전국 평균 40.2%)로 매년 전국 1위를 달성하고 있다.
중증환자의 입원치료를 위한 요양병원은 인구 10만 명당 16.03개소(전국평균 12.33)로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입소 이용이 원활하도록 자원이 확보되어있다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