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주경제신문이 주최하는 '제4회 소비자 안전 정책 포럼'이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국야쿠르트 본사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포럼에 참석한 홍문표 국회의원이 축사를 하고 있다. 이형석=leehs85@ |
아주경제 한지연 기자 = "원재료에 대한 심도 깊은 검사가 필요합니다. 생산지부터 식탁에 오르기까지 제품이 안전하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서입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홍문표 새누리당 의원은 26일 서울 신사동 한국야쿠르트 대강당에서 열린 아주경제 '제4회 소비자 안전정책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농장 생산에서 식탁까지 안전을 관장하는 정부의 시스템이 더 좋은거냐, 농어촌에서는 생산만 하고 식품을 가공하는 과정부터 안전을 책임지는게 좋냐는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며 "사후적 관리가 아닌 생산 기초단계에서부터 소비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뉴질랜드·덴마크·스웨덴 등 농업 선진국들은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 안전을 일괄적으로 관장하는 시스템이 있다"며 "하지만 우리는 무농약·친환경 제품 생산만 고집하지 그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는 국가가 제도적으로 보완해줄 방법이 아무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또 "먹기 직전에 건강한 식품인지 아는게 중요하지 검역 통과만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안전보증제도는 의미가 없다"며 "소비자 식탁에 오르기 전에 마트나 시장 등 최종 판매 단계에서 건강한 식품임을 보증하는 검사 필증 등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제도는 이미 80% 이상의 선진국에서 시행한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그는 "식품안전 정책에 대해 국가가 하지 못하는 것을 아주경제가 대신한다는 점에서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포럼에 제기된 문제점 등을 수용해 국회에서 보다 현실성있는 법과 제도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