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신화사] |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에서 해마다 최대 3억 명이 먹을 수 있는 분량의 음식물이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중궈왕(中國網)이 8일 보도했다.
중국과학원 지리과학·자연연구소와 중국농업과학원 농업정보연구소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매년 중국 대도시에서 2000만t 이상의 음식이 버려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00만t의 음식은 최소 2억5000명에서 3억명의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막대한 양이다.
식탁에서 남겨지는 음식물 이외에도 운송, 보관, 가공, 판매 및 소비과정에서도 10% 가량의 음식물이 낭비되고 있어 상황이 심각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특히 인구증가 및 도시인구비중 확대, 주민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식량수요는 계속 늘고 있어 향후 음식물 낭비가 식량 수급불균형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신문은 우려했다. 이 뿐 아니라 자연재해나 농약 사용에 따른 토양오염이 생산량 손실도 초래해 안전한 먹거리 확보도 어려워지는 추세다.
이에 중국과학원은 "식량낭비 문제에 대한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사회적 차원에서 경각심을 높아나가야 한다"며 "특히 중국 정부가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중국 시진핑(習近平) 신지도부 등장 이후 '사치풍조 근절'이 강조되면서 지난해 부터 '광판(光盤 빈그릇) 운동'이 확산되는 등 조금씩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