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6월말 현재 국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는 1916만337대(자동차 1대당 인구수 2.66명)로 전년말 대비 1.5% 증가했다.
국토부 자동차정책과 관계자는 “엔저현상 및 자유무역협정(FTA) 관세 인하 효과로 유럽차와 일본차 등 수입차 판매가 증가했고 자동차 내구성 증가로 폐차가 감소했기 때문”이라며 “수입차 판매 증가세는 수입차와 국산차의 가격 격차가 계속 줄고 젊은층 소비자의 수입차 구매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 상반기 신규 등록 대수는 80만3986대로 전년 동기 대비 252대가 감소했다.
국산차 등록대수는 71만4904대로 같은 기간 1.76% 줄었다. 현대차와 쌍용차가 각각 0.02%, 35.96% 증가했고 기아차(-5.41%)·한국GM(-4.49%)·르노삼성(13.86%)은 감소했다.
차량모델별 신규등록을 살펴보면 현대 그랜저가 가장 많이 팔렸다. 판매량 상위 10위권 모델 중 현대 싼타페와 투싼이 각각 81.04%, 7.32% 증가했지만 나머지 모델들은 모두 전년동기 대비 감소했다.
상반기 수입차 신규 등록대수는 7만6226대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9.54% 증가했다.
가장 많이 등록된 수입차는 BMW 5 시리즈이며 BMW와 벤츠 등 독일차 강세가 두드러졌다. 상위 10위권 중 독일차가 아닌 모델은 토요타 캠리와 렉서스 ES시리즈 뿐이었다.
상반기 자동차 이전등록 건은 166만9000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0.12% 감소했다.
국산차는 현대 소나타가 8만7057대로 가장 많이 이전됐다. 기아 모닝과 현대 아반떼도 각각 17.7%, 9.62% 증가했다. 수입차는 BMW 5시리즈 이전 등록대수가 가장 많았고 벤츠 E 클래스, 폭스바겐 골프가 각각 52.92%, 43.46% 증가했다.
자동차 말소등록 건은 51만4000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11.3% 감소했다. 이는 자동차 내구성과 품질 향상으로 사용연한이 늘어나고 경기침체로 신차 구매를 미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