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7/17/20130717000026_0.jpg)
정영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보기술융합센터장은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장사문화 현황’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일반국민을 상대로 장례문화 국민인식조사 결과 당시 일반국민이 생각하는 건당 적정부의금은 평균 4만7000원이었다.
이보다 2년 전인 2010년 11월에 실시한 장사제도 및 장사문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에서는 일반국민이 실제로 지출한 장례부의금은 건당 평균 5만3000원으로 국민이 인식하는 적정부의금과 실제 지출 금액과 차이를 보였다.
국민 인식 적정 장례비용과 실제 지출 장례비용에서도 2010년 조사에서 약 75%의 국민이 1000만원 미만의 장례비용이 적정하다고 판단했지만 2011년 화장시설에서 실제 장례를 치른 유족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들이 실제로 사용한 평균 장례비용은 1208만6000원이었다.
2000만원 이상의 장례비용을 쓴 경우도 전체의 약 14%였다.
이밖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죽음을 받아들이는 존엄사에 대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종교 없는 사람보다는 종교 있는 사람이 찬성했다.
[인기 기사]
- ▶백열전구 내년부터 생산·수입 전면 금지...127년만에 완전 퇴출
- ▶백지영 근황 "걱정시켜 미안해요"…팬 향한 인사
- ▶검찰, '추징급 미납' 전두환 측서 '고가 그림' 현금자산 압류
- ▶노량진 수몰사고 현장에 생존자 있었다
- ▶스노든, 러시아에 임시 망명 신청서 공식 제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