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은 이날 밀양지역 3개면 4개 마을을 차례로 방문해 “주민들이 요구하는 365kV 송전선로의 4회선을 설치하는데 최소 9년이 소요된다”며 “또 고속도로까지 접속선로 철탑과, 765kV를 345kV로 바꾸는 변전소도 필요한데 이를 짓기 위해선 2만5000평의 부지와 8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올여름 전력대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신고리 3·4호기를 지어놓고 송전선로가 없어 전력난이 반복되는 것은 답답한 일”이라고 송전탑 건설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윤 장관은 반대 주민들이 요구하는 ‘사회적 공론화 기구’ 구성과 관련해서는 “밀양 송전탑 갈등 문제는 소관 부서가 산업부이고, 산업부 장관이 책임지고 일을 처리한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반대 대책위원회가 제안한 정확한 데이터 시뮬레이션을 위한 TV 토론은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TV토론하고 전문가협의체 결론에 대한 의문은 주민 추천 전기전문가가 시뮬레이션 돌려서 해결하겠다”며 “그러나 전력수급 여건상 가급적이면 7월말이나 8월초까지 마무리 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의 보상안 부분에 대해서는 “개별적 보상을 포함시킬 수 있는 부분. 마을 단위 지원사업을 일부 탄력적으로 개별보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산업부, 밀양시, 5개면 주민대표위원회, 한전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구체적인 보상 방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9월 국회 산업위에서 송전선로 보상 관한 법률 통과시킬 것을 장관으로써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주민들께 정부 입장을 설명하고 주민들과 공동체를 위한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이 자리에 왔다”며 “앞으로 어떻게 풀어갈지 같이 고민하자”고 당부했다.
한편 밀양 반대 주민들은 이번 윤 장관의 방문에 산업부가 중재 자격이 없다며 고성을 지르며 반발하기도 했다.
주민들은 "산업부는 산하기관인 한국전력과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정부 부처라는 점에서 중재할 자격이 없다"며 “공사강행의 명분 쌓기로 변질될까 우려스럽다. 밀양에 오지말라”고 질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