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베일에 가려 있었던 렙틴과 인슐린의 상호 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밝혀 비만과 당뇨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결정적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향후 관련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렙틴은 음식물 섭취, 체중, 에너지대사를 조절하는 지방세포 유래 호르몬으로 렙틴 유전자의 이상이 비만과 당뇨를 유발할 수 있어 식욕억제 또는 비만억제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렙틴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으면 식욕이 억제되지 않아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렙틴 호르몬이 인슐린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비만과 당뇨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었다.
연구팀은 렙틴이 세포 대사조절의 핵심효소인 AMPK를 자극하면 췌장 내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KATP 채널이 세포막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AMPK는 세포내 에너지가 부족하면 활성화돼 다양한 세포 대사를 조절하는 인산화효소로 췌장 베타세포에서 활성이 증가하면 인슐린 분비를 억제한다.
KATP 채널은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는 핵심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세포막에서 세포의 에너지 상태를 감지하고 과도한 인슐린 분비를 통제해 인슐린에 대한 반응성을 떨어뜨리거나 지방세포를 축적하는 등 부작용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복상태가 되면 혈당 수치가 떨어지면서 인슐린의 분비가 억제되는 것은 식후 인슐린이 분비되도록 세포 안에 머물러 있던 KATP 채널이 공복상태에서는 세포막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 호르몬과의 관계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연구는 이런 생리반응을 조절하는데 렙틴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렙틴을 분비하게 하는 유전자가 고장난 비만쥐에서는 공복상태에서도 KATP 채널이 세포 안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런 비만쥐의 췌장 세포에 렙틴을 처리하면 5분 내에 AMPK 활성이 증가하면서 KATP 채널이 세포막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아냈다.
렙틴이 있어야만 공복상태에서 KATP 채널의 세포막 이동을 통해 과도한 인슐린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셈이다.
연구진은 렙틴, AMPK, KATP 채널로 이어지는 세포내 단백질들의 연쇄반응을 밝혀 세포 대사에서 렙틴과 인슐린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했다.
연구팀은 지난 2009년에 AMPK와 KATP 채널의 관계를 규명해 당뇨분야 학술지에 게재하기도 했다.
호원경 교수는 “렙틴-인슐린 관계를 모두 밝힌 것은 아니지만 연구결과가 다른 연구들에 활용돼 비만과 당뇨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기초의과학연구가 비만과 당뇨 등 성인질환 정복에 필수임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