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촬영한 일명 살인진드기로 불리는 작은소참진드기 턱부위. |
미래창조과학부와 포스텍은 26일 포항공대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이근재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관, 서재명 방사광이용자협회 회장, 장태현 포스텍 부총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생명의학영상 빔라인 준공식 행사를 개최한다.
이 빔라인은 10월 준공 예정인 ‘연 X-선 나노현미경 빔라인’과 함께 2010년부터 3년간 1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완공했다.
이번 완공으로 포항가속기는 총 32개의 빔라인을 보유하게 된다.
![]() |
생명의학영상 빔라인 전경(왼쪽) 및 내부 장치. |
생명의학영상 빔라인은 병원에서 사용하는 X-선보다 10~100배 이상 높은 해상도와 고감도 특성을 갖춰 기존 MRI, CT, 재래식 X-선관보다 세밀하고 정밀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을 갖췄다.
이 빔라인으로 고해상도·고감도 영상연구를 통한 질병의 원인과 메커니즘 규명, 류마티스 등 골·관절 염증성 질환 진단 등 생명의학 분야의 첨단연구를 비롯해 고생물학·고고학 연구 및 정밀 전자·기계 부품에 대한 비파괴 검사가 가능하다.
포항가속기연구소는 최근 시운전 과정에서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과 협력해 일명 살인진드기라고 불리는 작은 소참진드기의 내부구조를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해외 방사광가속기의 동종 빔라인은 기존 MRI, CT보다 3배 적은 방사선량으로 유방암 3차원 조직을 촬영했고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세디바의 뇌의 진화과정을 밝혀내는 한편 폐기능 분석을 통해 천식과 알레르기 연구, 관상동맥 협착증에 대한 진단 및 심혈관 질환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방사광가속기 이용자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오칠환 교수는 “추후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기기로 신약과 새로운 치료법을 검증하는 전 임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