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대외경제 영향, 출구전략·내수침체 우려 높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25 14: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올해 하반기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에 주목<br/>내년 이후 세계경제 회복 지연으로 금리상승 전망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우리나라가 미국·일본 등 대외경제로 인해 하반기에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으로 인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증폭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또 내년 이후에는 세계경제 회복 지연에 따른 수출 증가세 둔화, 금리상승 등에 따른 내수 침체가 우려된다는 분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개발연구원(KDI), 산업연구원(KIET), 국제금융센터 등 주요 정부산하 기관 연구원은 25일 대외경제 전망과 대응방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올해 하반기 미국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가장 먼저 언급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종료는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연준 보유자산 대부분이 장기채권이기 때문에 양적완화 축소로 채권수요가 감소할 경우 장기금리 상승이 불가피하며 이는 국내 금리상승 압력으로 작용 할 수 있다.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출구전략 논의로 달러화 강세로 전환돼 원화 약세 압력이 강해질 우려도 높다는 견해도 내놨다.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해서는 당분간 양적완화를 계속할 것으로 보이나 이에 따른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엔화약세 기조는 미국 양적완화 종료가 논의됨에 따라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일본의 양적완화 지속으로 일본 해외투자자금의 급격한 회수에 의한 금융시장 혼란 가능성은 낮을 전망이다.

중국의 경우 유동성 축소로 인한 단기적 금리상승과 이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에 영향 발생 가능성에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국정부는 금융개혁 일환으로 과도한 유동성 억제를 계속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한 일시적인 자금경색과 주가하락 등 단기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년 이후 중기적 대외경제 위험요소는 금융시장 불안감을 꼽았다. 미국 출구전략이 내년 이후 본격화되고 일본도 서서히 양적완화의 출구전략을 모색할 경우 금리상승, 환율상승, 외자유출, 주가하락 압력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경제 회복이 가시화되고 출구전략에 대한 시장의 예상이 금융시장에 충분히 반영될 경우 금융시장 충격은 상당히 완화된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 높다.

실물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국내적으로는 금리상승으로 인한 내수위축 우려가 있고 대외적으로는 중국과 유럽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우려도 존재한다.

미국 양적완화 종료와 기준금리 인상은 우리 금리를 상승시켜 가계소비 위축, 기업투자 위축을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금융개혁과 경기회복 지연은 우리 중국 수출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내수용 중간재의 중국 수출에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는 게 연구기관들의 분석이다.

일본의 양적완화 지속은 미국 금리인상과 맞물려 엔화가치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우리 수출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수출산업구조의 변화, 수출경쟁력 결정요인 변화, 제품차별화 진전 등으로 과거에 비해 영향력은 축소될 소지가 있다는 가능성도 내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