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하상준·김영준 연세대 교수, 바이러스 감염 만성화 유도과정 규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29 14: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하상준·김영준 연세대 교수, 면역물질 생성 억제와 만성화 관계 밝혀

하상준 교수(왼쪽)과 김영준 교수.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미래창조과학부는 하상준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와 김영준 교수가 주도하고 이명섭 박사와 박찬희 연구원, 정윤희 박사가 수행한 연구 결과 바이러스가 침입 초기 체내 면역장벽을 극복하고 만성화되는 과정을 규명해 향후 에이즈나 간염처럼 만성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치료방법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일반연구자지원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학술지 PLoS 병원균(Pathogens)지 18일자에 게재됐다.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감염된 세포는 면역물질 인터페론을 분비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대항한다.
 
인터페론은 병원균에 감염된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항바이러스성 단백질을 말한다.
 
감기 바이러스 등과 달리 에이즈 바이러스나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지속적인 감염에도 불구하고 인터페론이 계속 만들어지지 않고 생성이 멈춰 이 현상이 어떻게 만성감염으로 이어지는지 자세한 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을 이용해 OASL1 단백질에 의한 인터페론 생성 억제가 항바이러스 반응 약화와 면역세포 활성화 저해로 이어져 만성 감염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했다.
 
OASL1 단백질은 과량의 인터페론 생성을 유도하는 핵심 전사인자(RNA 생성인자)인 IRF7 단백질의 생성을 방해해 결과적으로 인터페론 생성을 억제한다.
 
이같은 연구는 향후 감염 초기 OASL1 단백질을 조절해 인터페론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게 해 만성 감염을 방지하는 연구의 단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OASL1 단백질이 인터페론 생성을 억제한다는 기존 연구결과에서 나아가 OASL1 단백질에 의한 인터페론 생성 억제가 만성 감염의 원인임을 밝힌 것이다.
 
인터페론 억제자인 OASL1이 만들어지지 않는 생쥐는 바이러스 대응 능력이 정상 생쥐에 비해 더 뛰어났다.
 
정상 생쥐보다 바이러스 증식 제어가 빨랐고 감염된 세포를 직접 제거하는 T 림프구의 활성 정도도 좋았다.
 
T 림프구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병원균에 감염된 세포를 직접 살상하는 면역세포다.
 
만성 감염이 진행된 경우에는 인터페론을 생성하는 수지상세포에서 OASL1 단백질이 많이 관찰됐다.
 
수지상세포는 바이러스 등 병원균 감염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핵심세포다.
 
하 교수는 “에이즈 바이러스나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는 백신이 전무하기 때문에 만성 바이러스 감염 초기에 인터페론 치료를 통해서 만성화를 예방하는 방안이 고려돼야 하고 보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OASL1과 같이 인터페론 생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는 약제 발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