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가격은 올려놓고 제품 가격 인상에 대한 자제를 요구하자 정부의 탁상공론이 업계를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는 지적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우유 가격 인상 과정에 대한 조사 후 문제가 있다면 가격 인하도 유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기재부는 최근 주요 우유업체의 가격 인상이 적절했는지를 두고 다각도로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격 인상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최악의 경우 가격 인하 유도 등 상응하는 조치도 취할 전망이다.
우유가격 인상으로 빵·과자·치즈 등 서민물가가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첫해이기 때문에 서민물가 불안을 확실하게 잡겠다는 정부의 의지로 풀이된다.
하지만 유업계는 정부 정책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원유가격연동제를 실시하며 원가를 리터당 106원 올려놓고, 제품 가격을 올리는 것에 대해 조사를 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유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유업계의 실정을 모르고 서민 물가를 무조건 잡고 보자는 전형적인 탁상공론에서 비롯된 일이다"고 지적했다.
특히 매일유업과 서울우유가 1리터당 250원 인상을 결정해 원유가격 상승분을 제외한 144원의 인상에 대해 정부와 소비자단체 등의 지적이 이어지자 유업계는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지난 2011년 가격 인상 이후 물가 상승 등을 고려했을 때 144원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업체 한 관계자는 "원유가격이 리터당 106원 인상됐다고 했을 때 리터장 400원까지도 인상을 계획했었다"며 "하지만 정부의 요청과 여론에 밀려 유업계가 250원을 양보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2010년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이 원유가격 인상 이후에도 정부의 요청으로 2~3개월간 가격 인상으로 보류하면서 하루 1억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하고, 서울우유가 50원 할인행사를 실시하면서 입게된 손해를 생각했을 때 이번 가격 인상은 결코 무리하지 않다는 게 유업계의 입장이다.
또 원유가격 인상분을 제외한 144원은 지난 2년간 공공요금·기름값 인상률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유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유업계 한 관계자는 "기름값·인건비·전기료 등이 계속해 오르는 동안 우유가격은 서민물가에 직결된다는 이유만으로 정부의 압박을 받아왔다"며 "적정성 조사후 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은 서민물가 안정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없이 업체에게만 손해를 감수하라는 탁상공론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