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총리는 “그동안 관계장관간담회 등을 통해 관계부처와 협의한 결과 현 시점에서는 입국장 면세점 도입을 추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입국장 면세점 도입이 허가되지 않은 것은 세관 단속기능 약화, 입국장 혼잡에 따른 불편 증가 등 긍정적 측면보다 부정적 시각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현 부총리는 “세관 단속기능 약화, 입국장 혼잡에 따른 불편 증가, 중소·중견기업 시내 면세점 조기 정착에 부정적 영향 등 부작용이 더 크다는 점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